책 조선 성리학의 핵심 논쟁 ‘호락논쟁’을 현대적으로 조명한 연구서 『호락논쟁』 발간
더뉴스인 주재영 기자 |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김낙년)이 조선 성리학 사상사의 결정적 논쟁이자 인간 본성과 도덕 실천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다룬 『호락논쟁(湖洛論爭)』(문석윤 지음)을 발간했다. 이 책은 사유와 문화의 뿌리를 탐구하기 위해 기획된 교양총서 <사유의 한국사> 시리즈의 네 번째 권으로, 한국 전통 철학의 정수를 담아내는 데 주안점을 뒀다. 조선 후기 성리학의 지적 성취, ‘호락논쟁’이란? ‘호락논쟁’은 18세기에서 19세기에 걸쳐 조선 성리학의 두 주요 학파인 호학(湖學)과 낙학(洛學) 사이에서 벌어진 이론 논쟁이다. 중심 논제는 인간의 마음(心)과 본성(性), 그리고 그것들이 기질과 맺는 관계였다. 충청도를 중심으로 한 호학은 기(氣)의 측면을 중시하며 본성과 마음의 이해에 있어 현실적 조건과 기질의 영향을 강조했다. 반면 서울 중심의 낙학은 리(理)의 보편성과 인간 본성의 선함을 강조하며 보다 이상주의적 시각을 견지했다. 호학은 개인적 편향(私)을 극복하기 위한 ‘극기(克己)’를 강조한 반면, 낙학은 인간 내면에 내재한 성인(聖人)의 가능성을 믿고 그것의 실현 가능성을 설파했다. 이러한 논쟁은 단순한 철학적 논변을 넘어 조선 후기 사